왼손잡이해방연대 아지트

사용자 확인중...

일지 762호의 개정판

본문 보기

'짤'의 어원

'짤'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 단어의 어원을 살펴보겠습니다. 요약하면 '디지털 카메라 인사이드' 커뮤니티에서 생긴 '짤림 방지'라는 표현이 줄어들어 '짤'이 되었습니다. 

'디지털 카메라 인사이드(Digital Camera Inside)'는 현재 디시인사이드로 알려져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입니다. 해당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초창기에는 디지털 카메라 동호인 사이트였습니다. 글을 올리는 '게시판'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사진이나 그림을 전시하는 '갤러리'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도 특징입니다. 사이트 목적에 맞게 글을 올릴 때는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올리는 것이 필수였다고 합니다. 이미지 없이 글만 있으면 관리자가 삭제, 즉 '짤랐'던 것이죠.

'짤림 방지 이미지'는 해당 커뮤니티에서 다른 잡담을 올리고 싶은 사람들에 의해 생겼습니다. 글이 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용과 상관 없이 자신이 좋아하는 작가의 사진 등 아무 사진을 올리고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렇게 '짤림 방지'라는 표현이 생겼습니다.

'짤림 방지'는 '짤방'이 되고 다시 줄어서 '짤'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짤'은 '짤리다'에서 왔지만 이제는 온라인으로 주고 받는 이미지 전체를 가르키는 말이 되었습니다. 변형해서 '웃짤', '혐짤' 등등으로도 쓰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