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손잡이해방연대 아지트

사용자 확인중...

연, 애

왼손잡이해방연대,

69

1

이건 정말 오래전부터 가지고 있던, 몇 년은 되었을 생각이다. <연애>라는 단어는 두 개의 한자로 이루어진다. 그리울 戀, 사랑 愛. 서로다른 두 사람이 매일 만나고 헤어짐을 반복하면서 그리워하고 사랑하는 일이다. 나무위키에 愛를 찾아보니 사랑으로도 쓰지만 즐긴다는 뜻으로도 쓰인다고 한다. 만남에 즐기고 헤어짐에 그린다고 뜻을 풀어보아도 좋지 않을까.

연애하는 두 사람을 일컫는 <연인>과 <애인>이라는 단어도 살펴볼만하다. 두 단어의 용례는 한국어에서는 크게 구분되지 않는듯하다. 연인이 좀더 애틋하고 애인이 좀더 서로를 소유하는듯한 뉘앙스 차는 있지만 연애하는 두 사람은 서로를 연인이라고 불러도 좋고 애인이라고 불러도 좋다. 연인이 좀더 둘의 일체감을 드러내는듯한 느낌도 있는듯하다. 한국어에서는 연인이 더 많이 쓰이는 것 같다.

일본어에서도 두 한자어가 모두 쓰이는데 여기서는 용례가 약간 다르다. 연인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연애하는 두 사람을 일컫는 말이고, 애인은 결혼한 사람이 따로 만나는 불륜 관계를 일컫는다고 한다. (잘 아는건 아니지만 어디서 그렇게 들었다.) 일본에서 불륜의 이미지가 어떤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연>이 <애>보다 조금 더 보편적인 사랑의 이미지인 것 같다.

연정과 애정이라는 말은 어떠한가? 둘은 뉘앙스가 확 다르다. 애정은 좋아하고 주고싶어하고 졸졸 쫓아다니는 이미지지만 연정은 애틋하고 헌신하고 그리는 이미지다. 둘다 연애의 서로다른 양면이라는 점이 더 구체적으로 느껴지는듯하다.

연심이라는 말은 독특하다. 애심으로 대응되지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이 단어는 일본어에서 더 많이 쓰이는 걸 보면 그냥 일본에서 들어온 말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일본에서는 왜 애심이라는 단어를 안 쓰냐 생각을 해보면 역시 <연>이 <애>보다 본질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이기 때문이 아닐까.

다시 <연애>로 돌아와서, 두 한자의 결합 순서에도 의미가 있을까? 비슷하게 결합한 한자어들을 생각해보면, 주야, 음양, 일월, 수족, 전후, 좌우, 상하, 흑백, 내외, 동서, 남북 등이 있을까. 모든 단어가 같은 종류라고 말하긴 어려운 것 같다. 반대되더라도 양극단에 멀찍이 서있는 것과 한 장에 앞뒤로 공존하는 것은 다른 반대니까 말이다. 역시 <연>이 더 중요해서 <애>보다 먼저 오는 걸까. 모르는 일이다.

사랑 노래들을 살펴보아도 슬픈 노래의 슬픔이 기쁜 노래의 기쁨보다 그 크기나 무게가 더 깊고 양적으로도 슬픈 노래가 더 많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 생각은 정말 어렸을 때 한 거라 맞는지는 모른다. 적어도 내게 있어서는 사랑의 기쁜 면보다 슬픈 면이 더 크게 느껴지는듯하다.

재밌는 언어철학 시간이었다. 언어에서 사고회로를 복원하기. 다음 학기에는 언어철학을 청강할까 생각중이다.


목록

'연'이라는 개념이 '애'와 달리 사랑이라는 개념과 '그리워함, 마음에 품음'이라는 개념을 함께 담고 있어서 애틋한 이미지를 그리게 된다는 느낌이 드네요. 실제로 일본어에서도 '그립다'라는 뜻의 대표적인 두 단어로 懐かしい와 恋しい가 있는데, 후자에 그 '연'이 쓰이죠. 사랑하는 사람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쓸 때는 거의 두 번째를 쓴다고 합니다. 참고로 유의어인 懐かしい의 한자 懐는 '품을 회'자라네요.

중원쿤 연애는 하고싶니

신기하네 연vs애 느낌이 다르긴하네